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58

40. 압연기 - 종류와 구조 / 2단, 3단, 4단 압연기 1. 압연기의 종류압연기의 종류는 제품의 종류, 로울의 종류, 로울의 배치 방식 및 크기 등에 따라 분류되어집니다. 압연기는 제품이 만들어진 종류에 의한 분류와 압연의 작업 조건 및 압연 로울의 사용수, 배치 방식에 따라 분류하기도 합니다.  또 로울, 하우징, 구동 장치 및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로울의 수는 2단, 3단, 4단, 다단 압연기 등으로 나누어집니다.  로울의 회전방향을 바꾸기 위해서는 2단 가역압연기, 3단 가역압연기가 있습니다. 로울의 지름이 중요한데 이는 압연 하중은 로울 지름과 압력의 크기에 의하여 좌우되기 때문입니다.  변형 저항이 큰 재료에서는 로울 지름을 작게 하며, 압연 하중의 저하를 도모하고 있습니다.  2.  생산 제품에 따른 분류 생산 제품에 따.. 2025. 1. 20.
39. 압연 가공 - 분괴 압연 / 형재와 선재의 압연 / 판재의 압연 / 특수 압연법 1. 압연 가공의 개요 먼저 압연의 정의부터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압연 이란,  소성 변형이 비교적 잘되는 금속 재료를 열간 또는 냉간에서 회전하는 2개의 로울 사이로 통과시켜 두께나 단면을 줄이고, 길이를 늘여서 여러 가지 형태의 봉재, 판, 관 등으로 만드는 가공 방법입니다. 압연은 주조, 단조에 비하여 작업이 빠르고, 생산비가 적게 들며, 재질이 균일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1) 열간 압연(hot rolling)의 장점 고온에서 재료가 연화하여 저항이 작고 소재 유동이 잘 되므로 작은 동력으로 큰 변형을 줄 수 있고, 재결정 온도 이상에서 압연하므로 재질의 균질화가 이루어집니다. 2) 냉간 압연 (cold rolling)의 장점제품의 치수를 정확히 할 수 있고, 압연된 재료의 표면이 깨끗하며,.. 2025. 1. 19.
38. 착색 및 봉공처리 - 유기염료 / 전해 착색 / 실링 외 1.  착색(1) 유기 염료에 의한 착색염료의 종류에는 수용성 염료, 유성 염료, 형광성 염료 등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수용성 염료 부터 살펴보면 유기 염료 이온은 크기가 15~20Å에 불과하여 100-300A 정도의 크기인 피막 중 존재하는 공극 내외로 자유로이 드나들 수 있습니다. 양극 산화 피막은 정전기적으로 양의 전하를 띠고 있기 때문에 음의 전하를 띤염료 가 잘 흡착되며, 염료의 농도는 0.1~10gr/l, 온도 30~60℃, 시간 0.1~30분 입니다. 유성 염료의 대부분이 아조계 염료로서 메탄올, 아세톤, 테레빈유, 휘발유, 벤젠 등의 용제에 녹으며, 착색에는 담금, 인쇄 또는 스프레이법 등이 적용됩니다. (2) 무기 화합물에 의한 착색옥살산제이암모늄 10~50g/ℓ액에 pH 4~6, 온도.. 2025. 1. 19.
37. 양극 산화 및 기상 도금 - 양극 산화 처리 개요 / 피막처리 / 크롬산법 / 혼산법 1. 양극 산화 처리(anodizing)의 개요양극 산화 처리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양극 산화 처리 방법은 전해액에서 물건을 양극으로 하고 전류를 통하여 양극에서 발생하는 산소에 의하여 금속 표면에 고착된 산화 피막을 형성하는 처리로 황산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양극 산화 처리의 주요 공정도를 보면 먼저AI 제품 → 기계연마 → 탈지 → 수세 → 양극산화처리 → 수세 → 착색 → 수세 → 봉공처리(실링)→ 건조 이러한 공정 과정을 보이고 있습니다. 2. 소재 및 피막의 생성Al의 재료는 압연재료로 고순도 99.8% Al, 1050, 1100 등이 거의 소재의 대부분입니다.  Al 재료에 양극처리하면 전해액의 종류와 전해 조건에 따라 색상, 두께, 내식성, 내 마멸성 등의 산화 피막의 성질이 달라지.. 2025. 1. 18.
36. 화성 처리 및 착색 - 크로메이트 처리 /인산염 피막처리 / 처리공정 외 1. 화성 처리의 개요먼저 화성처리의 정의부터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금속 표면에 화학적으로 산화막이나 무기염의 얇은 피막을 만드는 것으로 이때 만들어지는 화합물층은 반드시 그 금속의 화합물일 때에만 화성처리라고 합니다. 화성 처리의 주목적은 방청 피막 또는 도장하지를 만드는 것입니다. 2. 크로메이트 처리크로메이트 처리란, 6가 크롬을 함유하는 처리액 중에 담금법 또는 전해 방법으로 각종 금속 표면에 크롬 화합물 피막을 만들어 주는 처리입니다.  보통 아연이나 카드뮴 도금의 광택 및 내식성 향상과 구리, 황동, 은, 주석, 철강, 알루미늄 등의 방식 및 변색 방지 또는 도장의 전처리 등으로 이용되고는 합니다. 광택 크로메이트 처리공정을 살펴보면 도금 → 수세→ 질산에 담금→ 크로메이트 처리 → 수세→ .. 2025. 1. 18.
35. 플라스틱상의 도금과 무전해 도금 - ABS / 중화 / 화학 에칭 1. 플라스틱상의 도금1 ) 화학 도금의 개요플라스틱 등과 같은 수지 위에 도금하는 방법으로 화학 도금이 가장 보편적인 도금 방법입니다 금속 용사, 진공 증착, 기상 도금, 음극 스퍼터링, 전도성 도료 혹은 수지의 도포 등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그 외에 일반적으로 많이 시행하는 화학 도금으로는 환원제로서 포르말린을 사용하는 무전해 구리 도금, 하이포아인산나트륨이나 하이포아황산나트륨을 사용하는 무전해 니켈 도금과 크롬, 아연, 주석, 납, 황동, 코발트, 금, 은, 로듐 및 팔라듐 등도 무전해 도금입니다. 도금을 시행하는 수지는 ABS,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술폰, 노릴 및 에폭시 등이 있으며, ABS 수지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플라스틱 도금을 하기 위한 과정을 살펴보면 탈지→ .. 2025. 1.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