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용체2 53. 합금의 평형상태도 / 고용체 / 포정계 / 편정계 / 공석반응 1. 이원합금의 상태도 변화와 평형상태도2원 합금이란 두 종류의 금속 또는 비금속이 혼합된 것으로 물리적, 기계적 방법으로 금속을 구별하기 어려운 상태를 말합니다. 2원 합금의 상태를 3가지의 경우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첫 번째로 두 종류의 금속이 미세한 결정으로 결합된 상태, 두 번째로 원자상태로 고용된 고용체 상태 마지막으로 금속 간 화합물을 형성하는 상태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합금을 만들 때는 융점이 높은 금속을 먼저 용해하고 낮은 금속을 다음에 용해한 후 응고시키게 되는데 합금의 형성은 원자간의 인력 즉, 금속의 친화력에 의해서 결정됩니다. 친화력이 크면 화합물을 만들고, 약하면 서로 고용되며 더욱 약하면 혼합물을 만들게 됩니다. 합금의 조직상에 나타나는 상태는 화합물, 고용체 및 .. 2025. 1. 26. 13. 합금의 기초이론 - 고용도와 고용체 / 금속의 성질 / 결정구조 왜곡/ 가공경화 1. 금속의 성질이 변하는 기본 원리금속은 전위가 이동하여 모양이 변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금속을 강하게 하려면 2 종류의 기본적인 방법이 있습니다. (1) 전위가 없는 완전 결정으로 하는 방법완전 결정을 소성 변형하려면 모든 원자들을 동시에 이동하여야 합니다. 이렇게 하려면 매우큰 힘이필요합니다. 즉 재료가 대단히 강해지게 됩니다. (2) 가능한 한 전위의 이동을 방해하는 방법전위를 이동하여 소성 변형하려면 큰 힘이 필요하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전위의 이동을 방해하는 방법은 많으나, 어느 방법을 사용하든지 전위의 이동을 방해할수록 재료의 강도는 그만큼 강해집니다. (1)에서 설명한 재료, 즉 전위가 거의 없는 완전 결정에 가까운 재료로는 위스커(whisker)라는 신소재(新素材)가 있습니다. 이런.. 2022. 8. 10.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