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결정격자2 50. 금속의 결정구조 - 고체의 결정 / 결정의 특성 및 밀러지수 1. 금속의 결정 구조(1) 고체의 결정결정은 공간에서 원자 혹은 분자들이 규칙적으로 배열하고 있는 고체 입니다. 기체 및 액체의 원자배열은 규칙적이지 않고 고체에서도 불규칙한 원자 배열을 한 비정질 물체도 있습니다. 어떤 물질을 구성하고 있는 원자 혹은 분자가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결정체라고 하는데 결정립과 결정립 사이를 결정립 경계(혹은 결정립계)라 하며 불순물이 이곳에 모이게 됩니다. 공간격자를 구성하고 있는 최소 단위를 단위포(unit cell)라 하고 단위포(결정의 최소 단위) 모서리의 길이는 격자상수 라고 합니다. [격자상수의 크기: 보통 3~5Å(1Å=10cm)]7종의 결정계와 14종의 브라베 격자가 있는데 결정계의 7개 종류는 입방정계 , 정방정계 , 사방정계, 삼방정계 , 6.. 2025. 1. 25. 2. 금속의 특징과 금속의 결정구조 1 / 열전달 , 광택, 결정, 단위포 1-1-3. 금속의 특징금속 속에는 자유 전자가 존재합니다. 이 자유 전자 때문에 금속 재료는 다른 재료(예:플라스틱 재료나 세라믹 재료)에 없는 금속만의 특징이 나타나게 됩니다. (1) 금속은 변형된다돌이나 소금에 힘을 가하면 모양이 변하기 전에 깨져버리지만, 금속은 모양이 변할 수 있습니다. 소금과 금속의 경우를 비교하면서 그 이유를 생각해 보도록 하겠습니다.먼저 이온 결합한 소금의 경우를 생각해 보도록 하겠습니다.배열된 소금에 힘을 가하게 되면 이온들이 이동하여 그어놓은 점선의위, 아래에는같은 종류의 이온들이 만나게 됩니다. 즉 '+'전하의 나트트륨 이온들과 '-' 전하의 염소 이온들이 만나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이 이온들은 서로 배척하여 떨어지려고 하는 힘이 작용하게 되는데 그 결과 점선을 중.. 2022. 8. 6.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