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58 58. 청동 1 - 청동의 성질/ 주석청동의 종류와 용도 / 특수청동 (1) 청동의 성질청동의 성질은 물리적 성질, 기계적 성질, 화학적 성질, 청동에 함유된 불순물의 영향 등으로 그 성질을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먼저 물리적 성질에 따라 청동을 살펴보면 비중은 Sn의 증가에 따라 감소되며 20%에서 8.85, Q-황동은 8.89입니다. 선팽창계수는 10% Sn까지는 순동과 비슷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전기전도율은 Sn함유량 증가(약 3% Sn까지는 급감)에 따라 순동보다 감소하게 되고 전기저항의 온도계수 및 열전도율은 10% n 함유 시 순동보다 감소합니다. 청동의 기계적 성질을 살펴보면 연신율은 4~5%Sn 부근에서 최댓값이 되고 Sn함유량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게 됩니다. 인장강도는 Q-고용체의 농도에 따라 증가하며 Q의 범위를 넘어 17~18% Sn 부근에서 8 .. 2025. 1. 29. 57. 황동 2 - 황동의 종류와 용도 / 특수황동 - 아연당량 등 (1) 황동의 종류와 용도황동의 종류는 화학적 결합과 그 조직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gildind metal , commercial bronze, red brass(rich low), low brass, 톰백(tombac), 7/3 황동(cartidge brass), high or yellow brass, 6/4 황동(muntz metal), 황동주물이 바로 그 종류입니다.gildind metal 부터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gildind metal은 Cu(95%)-Zn(5%)의 합금으로 순동과 같이 연하고 coining 하기 쉬워서 동전, 메달 등에 사용되어집니다. commercial bronze는 Cu(90%)-Zn(10%)의 합금으로 단동의 대표로 청동 대용으로 사용됩.. 2025. 1. 28. 56. 황동 1 - 황동의 조직/ 성질 (1) 황동의 조직황동에는 6상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동소체는 a알파, 베타, 감마의 고용체를 가지며 공업용으로 사용되는 것은 Zn이 45% 이하로 실용되는 조직은 알파-고용체와 알파 플러스 베타의 2개의 상이 이용됩니다. 알파 상은 Cu에 Zn(32.5% 함유)이 고용된 상이며 연하고 인성이 크며 주조품에서 풀림 쌍정이 일어나게 됩니다. 베타상은 Cu에 Zn(32.5~38.0% 함유)이 고용된 상이며, 인장강도, 경도가 상보다 크고 인성과 내식성이 떨어지는 것이 단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감마상은 Zn이 약 50% 이상인 경우에 고용체를 형성하며, Cu2 Zn3의 화합물을 모체로 하는 고용체로 매우 단단한 것이 그 특징입니다. (2) 황동의 성질황동의 성질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황동의 성질.. 2025. 1. 28. 55. 구리의 성질 및 제조방법 - 장점/ 성질 / 제조법/ 종류 등 1. 구리의 성질 및 제조(1) 구리의 장점구리의 장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구리는 전기 및 열의 전도성이 우수하고 유연하며 전연성이 좋아 가공성이 용이합니다. 또 화학적 저항력이 커서 부식저항이 크며, 아름다운 광택을 가집니다. Zn, Sn, Ni, Mg 등과 합금이 용이한 것이 바로 구리의 장점입니다.(2) 물리적 성질다음으로 구리의 물리적 성질(99.99% Cu)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구리의 밀도(20℃, g/cm²) 는 8.96이고 용융점(C)은 1083도입니다. 끓는점 (℃)은 2595도 이고 열팽창계수(20℃×10-℃)는 16.8입니다. 용융 숨은열(cal/g)은 48.9이고 도전율(20℃, IACS)은 약 101입니다. 비열(20℃, cal/g.℃)은 0.092이고 고유 .. 2025. 1. 27. 54. 격자결함과 전위 / 재결정/ 점결함의 종류 외 1. 격자결함의 개요결정격자결함에는 기하학적 형상으로부터 점결함, 선결함, 계면결함, 체적결함이 있습니다. 점결함은 결정의 국부적인 결함으로 결정격자 중에는 점상의 결함이 존재합니다. 종류에는 원자공공(공격자점), 복공공, 격자간원자, 치환형 불순물 원자, 침입형 불순물원자 등이 있습니다. 선결함은 선에 따라서 결정 내에 존재하는 결함으로 이 선은 직선만을 나타내지 않고 곡선을 이룰 수도 있습니다. 또 그 자체가 접속되어 고리를 형성할 수도 있고 선결함에는 전위가 있고 이것은 금속결정의 소성변형과 강도에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계면결함은 어떤 결정의 한 규칙 영역과 다른 규칙 영역 사이의 경계역할을 하는 2차원적인 결함으로 결정입계와 적층결함 등이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체적결함은 고체의 형태 또는 .. 2025. 1. 27. 53. 합금의 평형상태도 / 고용체 / 포정계 / 편정계 / 공석반응 1. 이원합금의 상태도 변화와 평형상태도2원 합금이란 두 종류의 금속 또는 비금속이 혼합된 것으로 물리적, 기계적 방법으로 금속을 구별하기 어려운 상태를 말합니다. 2원 합금의 상태를 3가지의 경우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첫 번째로 두 종류의 금속이 미세한 결정으로 결합된 상태, 두 번째로 원자상태로 고용된 고용체 상태 마지막으로 금속 간 화합물을 형성하는 상태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합금을 만들 때는 융점이 높은 금속을 먼저 용해하고 낮은 금속을 다음에 용해한 후 응고시키게 되는데 합금의 형성은 원자간의 인력 즉, 금속의 친화력에 의해서 결정됩니다. 친화력이 크면 화합물을 만들고, 약하면 서로 고용되며 더욱 약하면 혼합물을 만들게 됩니다. 합금의 조직상에 나타나는 상태는 화합물, 고용체 및 .. 2025. 1. 26. 이전 1 2 3 4 ··· 10 다음 반응형